박테리오파지 Random Transposon Mutagenesis 기술 구축
인트론바이오는 인체 면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박테리오파지를 개량하여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로봇 박테리오파지 (Robot Bacteriophage) 기술을 개발해오고 있습니다.
기존에 안내드린 바와 같이, 인트론바이오는 박테리오파지 개량에 있어 맞춤형 CRISPR/Cas System을 개발한 바 있었으며, 금번에는 무작위 전이인자 돌연변이 유발 (Random Tranposon Mutagenesis) 기술을 적용시켜 박테리오파지 유전체 내 비필수 유전자 (non-essential gene)의 정확한 선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전체의 크기 조절과 함께 해당 부위에 부가적인 기능 부여 목적의 유전자 도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인트론바이오는 궁극적인 로봇 박테리오파지 (Robot Bacteriophage) 기술을 향한 더욱 진보된 2세대 로봇 박테리오파지 (Robot Bacteriophage 2nd Generation) 기술을 확보하게 된 것입니다.
인트론바이오는 PHAGERUS®와, PHAGERIA® 및 PHAGERIARUS®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킴은 물론, 더 나아가 면역치료제 개발에도 적용시키고자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박테리오파지 유전체를 원하는 대로 디자인하고 제작할 수 있는 보다 진일보한 Robot Bacteriophage 개량 기술의 확보가 필요합니다.
인트론바이오는 이미, Reverse Genetics 기술인 맞춤형 CRISPR/Cas System을 박테리오파지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였습니다. 아울러, 금번 개발한 기술은 Forward Genetics 기술로, Random Transposon Mutagenesis 기술을 이용하여, 박테리오파지 유전체 내에서 비필수적인 유전자 부위를 정확히 찾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구축한 것이며, 이렇게 박테리오파지 내 비필수 유전자를 제거하여 확보된 공간 (Spacer)에 원하는 유전자를 새롭게 도입시킬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는, 박테리오파지를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바이오신약의 필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는 원천적인 플랫폼 기술인 로봇 박테리오파지 기술의 새로운 기술 진보라 할 수 있습니다 (2nd Generation of Integrated Engineering Platform for Robot Bacteriophage (CRIPR/Cas & Transposon).
인트론바이오 BD 사업부 손지수 본부장은 “Random Transposon Mutagenesis를 박테리오파지 유전자 기능 검정에 활용한 첫 사례이며, 금번 개발한 Modified Random Mutagenesis 기술은, 세균에 활용되던 Transposon을 이용한 것이나, 이에 더하여 변이 유도된 개량형 박테리오파지를 선택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실험법을 추가하고 최적화시켜, High-Throughput Screening (HTS)이 가능하게 개발하였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인트론바이오는 자체 분리하여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박테리오파지 (Natural Bacteriophage)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금번 기술을 적용시켜서 개량형 박테리오파지의 종류와 범주를 점차적으로 넓혀 나갈 것이며, 동시에 유전체 크기에 관계없이 개량이 가능할 수 있는 기술을 한층 업그레이드시키고 가속화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인트론바이오 윤경원 대표는 “금번 확립된 Modified Random Mutagenesis 기반의 박테리오파지 개량 플랫폼 기술은 항바이러스 제제를 개발하는 PHAGERUS®, 항암 및 면역 조절 제제를 개발하는 PHAGERIA®와 PHAGERIARUS®에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서, 단계적으로 개발 분야를 확장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it is iNtRON.